효고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고현 선거구는 효고현 전체를 대표하며, 고베시와 한신 지역의 도시, 농촌 지역, 아와지섬을 포함한다. 2022년 9월 기준 유권자 수는 4,564,897명이며, 총 6명의 의원을 선출하며, 각 선거에서 3명의 의원을 새로 선출한다. 1947년부터 1992년까지 3년마다 6명의 의원을 선출했으나, 1995년부터 4명으로 축소되었다가 2016년부터 다시 6명으로 증원되었다. 최근 선거 결과로는 2022년 제26회 선거에서 가타야마 다이스케, 스에마쓰 신스케, 이토 다카에가 당선되었으며, 2019년 제25회 선거에서는 시미즈 다카유키, 다카하시 미쓰오, 가다 히로유키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고현의 선거구 - 효고현 제10구
효고현 제10구는 가코가와시, 다카사고시, 가코군으로 이루어진 중의원 선거구로, 중공업 중심지이자 베드타운으로 발전한 지역이며 자유민주당, 신진당, 민주당 간 경쟁이 치열한 곳이다. - 효고현의 선거구 - 효고현 제7구
효고현 제7구는 니시노미야시 일부와 아시야시를 관할하는 중의원 선거구로, 과거 도이 다카코의 지역구였으나 현재는 자유민주당, 민주당, 일본유신회 후보들이 경쟁하며 자유민주당 야마다 겐지가 당선되었지만 일본유신회의 추격이 거세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선거구
에히메현 선거구는 에히메현 전체를 지역구로 하며, 참의원 의원 2명을 선출하고, 2022년 제26회 선거에서 야마모토 준코가 당선되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와카야마현 선거구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로서 와카야마현 전체를 관할하며 2명의 의원을 선출하고, 자유민주당의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이나 과거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효고현 선거구 | |
---|---|
선거구 정보 | |
선거구 이름 | 효고현 선거구 |
원어 이름 | 兵庫県選挙区 (횬고켄 센쿄쿠) |
선거구 유형 | 의회 |
의회 이름 | 참의원 |
![]() | |
선거구 레이블 | 현 |
선거구 | 효고현 |
선거인 수 (2022년 9월 기준) | 4,564,897명 |
설립 년도 | 1947년 |
의석 수 | 6석 |
현재 의원 (2023년 1월 4일 기준) | |
2019년 선출 의원 | 시미즈 다카유키 (유신) 다카하시 미쓰오 (공명당) 가다 히로유키 (자유민주당) |
2022년 선출 의원 | 가타야마 다이스케 (유신) 스에마쓰 신스케 (자유민주당) 이토 다카에 (공명당) |
2. 선거구 정보
지역 | 효고현 전역 |
---|---|
의원 정수 | 6명 (개선 정수 3명) |
유권자 수 | 4,564,897명 (2022년 9월 기준) |
이 선거구는 효고현 전체를 대표하며, 고베시와 한신 지역의 도시 중심지뿐만 아니라 현 북부와 서부의 농촌 지역, 그리고 아와지섬까지 포함한다. 2016년 6월 기준 등록 유권자 수는 4,644,254명으로, 당시 전국에서 여덟 번째로 많은 규모였다.
과거 효고현을 대표했던 일부 참의원 의원은 다음과 같다.
- 스에마츠 신스케 (자유민주당; 임기 2016년 만료)
- 미즈오카 슌이치 (민주당; 임기 2016년 만료)
- 고노이케 요시다다 (자유민주당; 임기 2019년 만료)
- 시미즈 타카유키 (일본 유신회 후보로 당선, 당시 오사카 유신회 소속; 임기 2019년 만료)
3. 역대 의원
참의원 선거 제도가 도입된 1947년 제1회 통상선거부터 현재까지 효고현 선거구에서 선출된 역대 의원 목록이다. 참의원 의원의 임기는 6년이며, 3년마다 전체 의원의 절반을 새로 선출하는 방식에 따라 홀수 회차 선거와 짝수 회차 선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효고현 선거구의 정수는 초기에 3명이었으나, 1995년 제17회 통상선거부터 2명으로 줄어들었다. 이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2016년 제24회 통상선거부터 다시 3명으로 조정되었다. 의원의 임기 중 사직, 사망, 다른 선거 출마 등의 사유로 결원이 발생했을 경우 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아래 표는 각 선거별 당선자와 소속 정당, 보궐선거 결과 등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한 것이다.
3. 1. 역대 의원 목록 (표)
wikitext홀수회 | 짝수회 | ||||||
---|---|---|---|---|---|---|---|
의원 1 | 의원 2 | 의원 3 | 선거 | 의원 1 | 의원 2 | 의원 3 | |
하라구치 주지로 (일본사회당) | 야기 고키치 (무소속)[29] | 후지모리 신지 (민주정치당) | 1947년 제1회 | 아카기 마사오 (민주정치당)[30] | 다구치 마사고로 (민주당)[30] | 고바타 데쓰오 (민주당)[30] | |
요코오 시게미 (민주자유당) | 1949년 보궐 | ||||||
오카자키 신이치 (민주자유당) | 1950년 보궐 | 1950년 제2회 | 마쓰우라 세이이치 (일본사회당) | 야마가타 가쓰미 (자유당) | 아카기 마사오 (녹풍회) | ||
오카자키 신이치 (자유당) | 마쓰자와 겐진 (사회당 우파) | 가와이 기이치 (사회당 좌파) | 1953년 제3회 | ||||
1956년 제4회 | 나리타 이치로 (자유민주당) | 마쓰우라 세이이치 (일본사회당) | 나카노 분몬 (자유민주당) | ||||
오카자키 신이치 (자유민주당) | 아오타 겐타로 (자유민주당) | 마쓰자와 겐진 (일본사회당) | 1959년 제5회 | 1959년 보궐 | 기시다 사치오 (자유민주당) | ||
1962년 제6회 | 사노 요시오 (일본사회당) | 기시다 사치오 (자유민주당) | 나카노 분몬 (자유민주당) | ||||
마쓰자와 겐진 (일본사회당) | 나카자와 이토코 (민주사회당) | 아오타 겐타로 (자유민주당) | 1965년 제7회 | ||||
1968년 제8회 | 아라이 도루 (공명당) | 사노 요시오 (일본사회당) | 하기와라 유카코 (민주사회당) | ||||
가나이 모토히코 (자유민주당) | 고타니 마모루 (일본사회당) | 나카자와 이토코 (민주사회당) | 1971년 제9회 | ||||
1972년 보궐 | 나카니시 이치로 (자유민주당) | ||||||
1974년 제10회 | 나카니시 이치로 (자유민주당) | 야하라 히데오 (공명당) | 야스타케 히로코 (일본공산당) | ||||
가나이 모토히코 (자유민주당) | 와타나베 미치코 (공명당) | 고타니 마모루 (일본사회당) | 1977년 제11회 | ||||
1980년 제12회 | 나카니시 이치로 (자유민주당) | 모토오카 쇼지 (일본사회당) | 야스타케 히로코 (일본공산당) | ||||
야하라 히데오 (공명당) | 누키야마 에이코 (민사당) | 이시이 이치지 (자유민주당) | 1983년 제13회 | ||||
1986년 제14회 | 나카니시 이치로 (자유민주당) | 모토오카 쇼지 (일본사회당) | 가타카미 고진 (공명당) | ||||
교쿠도 고난료 (일본사회당) | 이시이 이치지 (자유민주당) | 야하라 히데오 (공명당) | 1989년 제15회 | ||||
1992년 제16회 | 고모토 사부로 (자유민주당) | 모토오카 쇼지 (일본사회당) | 가타카미 고진 (공명당) | ||||
이시이 이치지 (신진당) | 고노이케 요시타다 (자유민주당) | rowspan=9 bgcolor=lightgrey| | 1995년 제17회 | ||||
1996년 보궐 | 아시오 조지 (내일의 일본을 여는 효고의 모임) | ||||||
1998년 제18회 | 모토오카 쇼지 (민주당) | 오사와 다쓰미 (일본공산당) | rowspan=6 bgcolor=lightgrey| | ||||
고노이케 요시타다 (자유민주당) | 쓰지 야스히로 (민주당) | 2001년 제19회 | |||||
2004년 제20회 | 미즈오카 슌이치 (민주당) | 스에마쓰 신스케 (자유민주당) | |||||
쓰지 야스히로 (민주당) | 고노이케 요시타다 (자유민주당) | 2007년 제21회 | |||||
2010년 제22회 | 스에마쓰 신스케 (자유민주당) | 미즈오카 슌이치 (민주당) | |||||
고노이케 요시타다 (자유민주당) | 시미즈 다카유키 (일본유신회) | 2013년 제23회 | |||||
2016년 제24회 | 스에마쓰 신스케 (자유민주당) | 이토 다카에 (공명당) | 가타야마 다이스케 (오사카 유신회) | ||||
시미즈 다카유키 (일본유신회) | 다카하시 미쓰오 (공명당) | 가다 히로유키 (자유민주당) | 2019년 제25회 | ||||
2022년 제26회 | 가타야마 다이스케 (일본유신회) | 스에마쓰 신스케 (자유민주당) | 이토 다카에 (공명당) |
4. 최근 선거 결과
아래는 효고현 선거구에서 치러진 과거 참의원 선거 결과이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고노이케 요시다다 | 자유민주당 | 868,069 | 37.8% | 현직, 공명당 추천, 당선 |
시미즈 다카유키 | 일본 유신회 | 598,630 | 26.1% | 당선 |
쓰지 야스히로 | 민주당 | 343,551 | 15.0% | 현직 |
가네다 미네오 | 일본공산당 | 220,577 | 9.6% | |
시모무라 에리코 | 모두의 당 | 174,132 | 7.6% | |
마쓰모토 나미호 | 녹색당 | 58,032 | 2.5% | |
미나토 유코 | 행복실현당 | 34,827 | 1.5%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스에마쓰 신스케 | 자유민주당 | 694,459 | 29.4% | 현직, 당선 |
미즈오카 슌이치 | 민주당 | 515,541 | 21.8% | 현직, 국민신당 추천, 당선 |
이사카 노부히코 | 모두의 당 | 414,910 | 17.6% | |
미하시 마키 | 민주당 | 409,190 | 17.3% | 국민신당 추천 |
호리우치 테루후미 | 일본공산당 | 199,052 | 8.4% | |
요시다 아이미 | 신당개혁 | 107,028 | 4.5% | |
다카기 요시아키 | 행복실현당 | 20,651 | 0.9% |
4. 1. 2022년 (제26회)
순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가타야마 다이스케 | 일본유신회 | 652,384 | 28.34% | 당선 |
2 | 스에마쓰 신스케 | 자유민주당 | 562,853 | 24.45% | 당선 |
3 | 이토 다카에 | 공명당 | 454,962 | 19.76% | 자유민주당 추천, 당선 |
4 | 아이자키 사와코 | 입헌민주당 | 260,496 | 11.32% | 사회민주당 추천 |
5 | 고무라 준 | 일본공산당 | 150,040 | 6.52% | |
6 | 니시무라 시노부 | 참정당 | 88,231 | 3.83% | |
7 | 구로타 히데타카 | 유신정당·신풍 | 33,870 | 1.47% | |
8 | 야마자키 아이코 | NHK당 | 27,057 | 1.18% | |
9 | 기하라 구니야 | 무소속 | 25,113 | 1.09% | |
10 | 나카소 지즈코 | NHK당 | 16,324 | 0.71% | |
11 | 하야미즈 하지메 | NHK당 | 14,323 | 0.62% | |
12 | 이나가키 히데야 | 신당 구니모리 | 8,989 | 0.39% | |
13 | 사토무라 에이이치 | 행복실현당 | 7,263 | 0.32% | |
합계 | 2,301,905 |